규화목(硅化木)
나무줄기 세포 속에 수용성(水溶性) 규산이 스며들어, 화석화(化石化)되는 중에, 규산이 불용성·미결정질의 이산화규소 SiO(마노나 오팔과 같은 성분)가 된 것. 나이테가 잘 보존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규산과 함께 수산화철(적갈색) 등이 얼룩모양으로 주입(注入)되어 있으므로, 여러 가지 방향으로 절단하고 표면을 연마해서, 장식으로 이용하는 일이 많다. 또 세포막이 잘 보존되므로, 그 프레파라트(생물 및 광물의 표본)를 현미경으로 조사함으로써, 대략의 수종(樹種)은 식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나무줄기 부분은 다른 기관(器官)에 비해 특징이 빈약하기 때문에, 정확한 수종의 결정은 곤란하다. 따라서 Taxodiaxylon(삼송과 식물의 줄기재) 등, 일반의 분류상의 명칭 뒤에 재(材)를 뜻하는 -xylon을 붙여, 형태속(形態屬)으로 취급하는 경우가 많다.
출처 : 야후 이미지박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