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는 음양오행설을 바탕으로 땅에 관한 자연이치를 설명하는 이론이다. 풍은 바람으로 기후와 풍토를 가리키며, 수는 물에 관한 모든 것을 가리킨다. 이러한 자연의 모습을 구별하여 인간의 운명과 연결시키는 생각이 풍수사상이다. | |
|
|
|
|
길지란 온화하고 부드러우며 마음을 안정시켜 주는 주위 환경과 산의 흐름, 안정된 물길이 있으면서도 결코 단조롭지 않은 변화를 갖는 산수를 의미한다.산의 흐름이 좋고, 땅에서 생기를 얻을 수 있으며, 사방에 산이 둘러싸여 있어 바람을 막아 주는 곳을 길지로 여겼는데, 그 중 좋은 집터를 고를 때는 땅속으로 흘러다니는 생기가 모여 있어 인간에게 감흥을 불러 일으키는 장소로 골랐다. | |
| |
| |
| |
| |
길지에 집터를 정하고, 건물의 위치와 방향을 정하는 일도 풍수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집터의 등진 방위에서 정면으로 보이는 방향인 좌향은 집주인의 운명에 영향을 준다고 믿었다. 좌향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안방과 부엌, 대문이라고 생각하여 이러한 요소의 위치와 방향은 반드시 풍수전문가가 결정해야 했다. 그 밖의 공간들도 그 기능과 관련하여 음양오행의 원리에 합당하도록 위치와 방향이 결정되었다. | |
|
|
|
|
|
|
건물의 형태도 풍수사상에 의하여 결정되었다. 특히 집의 평면형태는 좋은 글자의 모양을 갖추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일, 월과 같은 모양은 그 뜻이 해와 달을 의미하기 때문에 좋은 형태로 여겨졌으며, 구와 같은 모양은 먹을 것이 끊이지 않음을 의미하기 때문에 많이 이용되었다. 이 밖에도 공간의 모양이라든지, 대문과 담장의 형태, 창호(창과 문)의 배치, 집터의 규모 등 건축계획과 관련된 대부분이 풍수 또는 음양오행의 이치에 합당하도록 이루어졌다.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