家庭生活⊙

풍수지리

milbori1999 2007. 5. 20. 21:27

풍수는 음양오행설을 바탕으로 땅에 관한 자연이치를 설명하는 이론이다. 풍은 바람으로 기후와 풍토를 가리키며, 수는 물에 관한 모든 것을 가리킨다. 이러한 자연의 모습을 구별하여 인간의 운명과 연결시키는 생각이 풍수사상이다.
풍수의 기본원리는 도참사상과 결합하여 깊은 믿음으로 뿌리를 내리게 되었다. 땅 속에는 꿈틀대는 정기가 있으며 이것은 인간 몸속의 피처럼 일정한 길을 따라 움직이는데 이를 타고난 사람은 복을 받고 부귀영화를 누리고, 이것이 뭉친 곳에 집을 지으면 가운이 뻗쳐 대대로 번창하며, 도읍을 정하면 나라가 번성하고, 조상의 무덤을 쓰면 위대한 인물이 태어난다고 하였다. 즉 집터나 마을터, 무덤 자리의 좋고 나쁨이 인간의 길흉화복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다.

 

 

길 지

 

 

길지란 온화하고 부드러우며 마음을 안정시켜 주는 주위 환경과 산의 흐름, 안정된 물길이 있으면서도 결코 단조롭지 않은 변화를 갖는 산수를 의미한다.산의 흐름이 좋고, 땅에서 생기를 얻을 수 있으며, 사방에 산이 둘러싸여 있어 바람을 막아 주는 곳을 길지로 여겼는데, 그 중 좋은 집터를 고를 때는 땅속으로 흘러다니는 생기가 모여 있어 인간에게 감흥을 불러 일으키는 장소로 골랐다.

 

 

 집터를 고르는 일

 

길지에 집터를 정하고, 건물의 위치와 방향을 정하는 일도 풍수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집터의 등진 방위에서 정면으로 보이는 방향인 좌향은 집주인의 운명에 영향을 준다고 믿었다. 좌향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안방과 부엌, 대문이라고 생각하여 이러한 요소의 위치와 방향은 반드시 풍수전문가가 결정해야 했다. 그 밖의 공간들도 그 기능과 관련하여 음양오행의 원리에 합당하도록 위치와 방향이 결정되었다.

 

 

  건물의 형태

 

 

 

건물의 형태도 풍수사상에 의하여 결정되었다. 특히 집의 평면형태는 좋은 글자의 모양을 갖추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일, 월과 같은 모양은 그 뜻이 해와 달을 의미하기 때문에 좋은 형태로 여겨졌으며, 구와 같은 모양은 먹을 것이 끊이지 않음을 의미하기 때문에 많이 이용되었다. 이 밖에도 공간의 모양이라든지, 대문과 담장의 형태, 창호(창과 문)의 배치, 집터의 규모 등 건축계획과 관련된 대부분이 풍수 또는 음양오행의 이치에 합당하도록 이루어졌다.

 

 

  집 짓는 시기와 과정

 

 

 

집을 짓는 시기와 과정도 풍수에 의하여 결정되었다. 집주인이 집지을 운세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일을 성주 운보기라고 하여 운이 닿지 않는 해에 집을 지으면 불행한 일이 닥친다고 믿었다. 집 짓는 과정상의 중요한 날도 풍수전문가가 선택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시기를 선택해야 한는 중요한 날은 터 닦는 날, 주춧돌 놓는 날, 기둥 세우는 날, 마룻대(종도리) 올리는 날, 그리고 집에 들어가는 날 등이었다. 이와 같이 시기를 선택하는 일을 택일이라 하였으며, 특별히 날을 보는 사람이 따로 있었지만 대부분 풍수  전문가들이 행하였다.

 

 

  목수들의 작업

 

 

 

집을 짓는 목수에게도 영향을 미쳐 건축방법에도 여러 가지 원칙이나 금기사항이 있었다. 집을 지을 때 담장과 바깥 대문을 먼저 짓지 않는다든지, 나무를 거꾸로 하여 기둥을 쓰지 않는다든지, 기둥이 쪼개져 있으면 나쁘다든지 하는 것들이 그 예이다. 또한 집의 부재도 구부러진 것, 벌레 먹은 것, 죽은 나무, 마른 뽕나무, 벼락을 맞은 단풍나무나 대추나무를 꺼렸다. 그리고 특히 사당, 절, 관청 등을 짓다가 남은 나무, 배를 만들다 남은 나무, 신수와 사당나무, 짐승이 깃들었던 나무 등이 집에 들어오는 것은 좋지 않게 생각하였다.

'家庭生活⊙'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 터  (0) 2008.03.11
침석 방향  (0) 2007.05.20
한옥학교 입학  (0) 2007.03.04
집지을 터를 찾아  (0) 2007.01.18
산골에서의 삶  (0) 2007.01.12